증평읍
마을 사람들의 고향생각 속에 묻어 있을 용강1리 은행나무
용강리 (龍江里)
[ 연혁 ]
용강리(龍江里)는 본래 조선시대 청안현(淸安縣) 근서면(近西面) 지역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 기록에는 청안현 근서면에 29개리가 있었다. 그 중에서 현재의 용강리와 관련된 마을로는 외룡리(外龍里)ㆍ석현리(石峴里)ㆍ곡강리(曲江里)ㆍ청룡리(靑龍里)ㆍ내룡리(內龍里)ㆍ증자천리(曾子川里) 등 6개리가 있었다. 그 뒤 용강리는 건양(建陽) 원년(1895)에 청안현(淸安縣)이 청안군(淸安郡)으로 승격되면서 청안군의 6개면인 읍내면(邑內面)ㆍ동면(東面)ㆍ남면(南面)ㆍ북면(北面)ㆍ서면(西面)ㆍ근서면(近西面) 중에서 근서면(近西面)에 속하는 지역이 되었다.『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 당시 청안군 근서면은 26개리를 관할하고 있었다. 그 사이 증자천리(曾子川里)가 증천리(曾川里)로 변경되었으며, 청룡리(靑龍里)가 없어졌다.1914년에 일본제국주의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증평면(曾坪面)은 11개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1917)에 따르면, 용강리는 근서면 외룡리(外龍里)ㆍ석현리(石峴里)ㆍ곡강리(曲江里)ㆍ내룡리(內龍里)ㆍ증천리(曾川里) 일부와 남면(南面)의 작동(鵲洞) 일부를 병합하여 만들었다. 이때 용문리와 곡강리의 이름을 따서 용강리라 하고, 괴산군 증평면에 편입하였다.1990년 12월 31일에 지방자치법 제106조 및 충청북도조례 제1864호에 의거하여 괴산군 증평읍에서 충청북도증평출장소(忠淸北道曾坪出張所)로 바뀔 때, 용강리는 증천지소(曾川支所) 관할이었다. 2002년 1월 2일에 주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소의 관할구역을 변경할 때, 용강리는 증천지소에서 장평지소(莊坪支所)로 바뀌었다. 2003년 5월 29일에 법률 제6902호 「증평군 설치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고, 부칙에 따라 3개월 뒤인 2003년 8월 30일에 증평군(曾坪郡)이 공식 설치되어 증평군 증평읍 용강리가 되었다.
[ 유래 ]
용강리는 1914년에 용문리와 곡강리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용강리는 증평읍사무소에서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충주대증평캠퍼스[옛 청주과학대학]가 있고, 코스모텍ㆍ두산 등의 기업체가 들어와 있다. 2010년 5월 현재 434세대에 833명이 거주하고 있다.
- 용강1리(龍江一里) : ㆍ안용문이/내용문이(內龍門-)/내룡리(內龍里) : 용강1리와 용강3리는 통틀어 ‘용문(龍門)’ 또는 ‘용문이(龍門-)’로 불린다. 이는 지형이 ‘용이 드나드는 문’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 전한다. ‘용문’은 ‘청룡재’를 기준으로, ‘바깥용문이’와 ‘안용문이’로 나뉜다. 용강1리는 ‘청룡재’ 안쪽[북쪽]에 있어 ‘안용문이’ㆍ‘내용문이(內龍門-)’ㆍ‘내룡리(內龍里)’로 불린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와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의 ‘내룡리(內龍里)’으로 불리던 곳이다. ‘안용문이’는 ‘웃마을’과 ‘아랫마을’로 나뉘는데. ‘웃마을’은 마을의 은행나무가 있는 곳을 말하고 ‘아랫마을’은 사곡2리 ‘사청’ 쪽에 있는 곳을 말한다.소두방재/솥두방재 : ‘안용문이’ 뒤[동쪽]에 있는 산이다. ‘소두방재’ㆍ‘솥두방재’는 ‘소두방’ㆍ‘솥두방’과 ‘재’로 나뉜다. ‘소두방’ㆍ‘솥두방’은 모두 ‘솥뚜껑’을 뜻하는 ‘소댕’의 방언형으로, ‘소두방재’ㆍ‘솥두방재’는 ‘소댕 모양으로 생긴 고개’로 풀이된다.용강들(龍江-) : ‘안용문이’ 앞[서쪽]에 있는 들이다. ‘용강들’은 ‘용강’과 ‘들’로 나뉘며, ‘용강리에 있는 들’로 풀이된다.용강소류지(龍江小溜池) : ‘안용문이’ 서쪽에 있던 못으로, 1945년에 축조되었다. 경지정리로 인해 없어졌다. ‘용강소류지’는 ‘용강’과 ‘소류지’로 나뉘며, ‘용강리에 있는 못’으로 풀이된다.청룡재(靑龍-)/청룡재고개(靑龍-) : ‘청룡재’는 ‘청룡’과 ‘재’로 나뉜다. 지명에 나타나는 ‘청룡’은 주로 ‘주산(主山)에서 뻗어나간 왼쪽 산줄기’를 가리킨다. 풍수지리상으로 ‘좌청룡우백호(左靑龍右白虎)’와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청룡재고개’는 ‘재’가 ‘고개’의 의미인 줄 모르고, 같은 뜻의 ‘고개’를 덧붙인, 일종의 유의중복 어형이다. 이 고개를 경계로 안쪽[북쪽]을 ‘안용문이’로, 바깥쪽[남쪽]을 ‘바깥용문이’로 부른다. 현재는 포장농로가 되었다. 함석산[-石山] : ‘안용문이’ 동쪽에 있는 산으로, 암용의 머리에 해당되는 곳이다. 과거 샘이 있었고 돌이 많다. ‘함석산’은 ‘한석산’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한석산’은 ‘한’과 ‘석산’으로, ‘석산’은 다시 ‘석’과 ‘산’으로 나뉜다. 따라서 ‘한석산’이나 변화형 ‘함석산’은 ‘큰 돌산’으로 풀이된다.
- 용강2리(龍江二里) : ㆍ곡강(曲江)/곡강골(曲江-) : ‘돌고개’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증평에서 괴산군 청안면 방면의 592번지방도 오른쪽에 있는 마을이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의 ‘곡강(曲江)’으로 불리던 곳이다. ‘곡강’이나 ‘곡강골’은 마을 형태가 굽이쳐 흐르는 강[河回]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전설에 따르면, 용강리에는 암용과 수용이 있었는데 암용은 ‘안용문이’에 수용은 ‘바깥용문이’에 살았다. 용강리에는 강이 흐르고 있었고 이곳에 살던 용이 승천할 때 꼬리를 쳐서 강이 구부러졌다고 한다. 김득신(金得臣)은 ‘차운(次韻)’이란 제목으로 ‘곡강’을 노래하고 있다.
- 용강3리(龍江三里) :ㆍ바깥용문이/외용문이(外龍門-)/외룡리(外龍里) : ‘용문’ 바깥쪽에 있는 마을이다. ‘용문’은 ‘청룡재’를 기준으로 ‘바깥용문이’와 ‘안용문이’로 나뉜다. 용강3리는 ‘청룡재’ 바깥쪽[남쪽]에 있어 ‘바깥용문이’ㆍ‘외용문이(外龍門-)’ㆍ‘외룡리(外龍里)’로 불린다. 수용이 살던 곳이라 전한다. ‘(주)유니더스’가 수용의 머리가 있는 곳이고, ‘(주)코스모텍’ 자리가 용의 꼬리가 있는 곳이라고 한다. 『호구총수』(정조 13년, 1789)와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의 ‘외룡리(外龍里)’로 불리던 곳이다.빨각산(-山) : ‘바깥용문이’ 동쪽, ‘절골’ 안에 있는 산이다. ‘(주)유니더스’ 근처이다. ‘빨각산’는 ‘빨간산’의 변화형이다. ‘빨간산’은 ‘흙이 빨간 산’으로 풀이된다. 이 산은 실제로 빨간 흙으로 되어 있다.상종말[山旌-] : ‘바깥용문이’ 입구, ‘곡산연씨열녀각’이 있는 곳을 말한다. ‘상종말’은 ‘상정말’의 변화형으로 보인다. ‘상정말’은 다시 ‘산정말’에 기원을 둔다. ‘산정말’은 ‘산정’과 ‘말’로 나뉜다. ‘산정’은 몇 가지로 풀이된다. 하나는 ‘산정(山亭)’으로, 다른 하나는 ‘산정(山井)’으로, 마지막 하나는 ‘산정(山旌)’으로 볼 수 있다. 본 예는 열녀각이 있는 곳이니, 마지막으로 보아 ‘산 정려문이 있는 마을’로 풀이된다. 옻샘 : ‘절골’ 안에 있던 샘이다. ‘옻샘’은 ‘옻’과 ‘샘’으로 나뉜다. ‘옻’은 ‘옻나뭇과 식물 속에 있는 우루시올(urushiol)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으로, 빨갛게 붓거나 물집이 생기거나 하여 매우 가렵다. 옻이 오르면 찬물로 닦는 것이 효과적이다. 찬물이 피부염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옻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는 찬물 샘을 ‘옻샘’으로 불렀던 것이다. 과거 물이 차고 좋아 피부병에 특별한 효험이 있었다. 농로가 나면서 사라졌다.장등 : ‘바깥용문이’ 동쪽에 있던 마을의 높은 언덕이다. 예전에 마을 아이들의 놀이터였으나, 현재는 도로가 나 있다. ‘장등’은 ‘산마루’의 방언형이다.절골 : ‘바깥용문이’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괴산군 청안면 금신리 ‘회룡’으로 넘어가는 길목이다. ‘텃논들’ 동쪽에 붙어 있다. ‘절골’은 ‘절’과 ‘골’로 나뉘며, ‘절이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텃논들 : ‘바깥용문이’ 동쪽에 있는 들이다. ‘텃논들’은 ‘텃논’과 ‘들’로 나뉜다. ‘텃논’은 ‘집터에 딸리거나 마을 가까이에 있는 논’을 뜻하니, ‘텃논들’은 ‘집터에 딸리거나 마을 가까이에 있는 논으로 되어 있는 들’로 풀이된다.
- 용강4리(龍江四里) : ㆍ돌고개1/석현(石峴) : 마을 서쪽에 있는 ‘돌고개2’[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달리 ‘석현’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돌고개’에 대한 한자 이름이다. 『호구총수』(정조 13년, 1789년)에는 보이지 않으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의 ‘석현(石峴)’으로 불리던 곳이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도 ‘石峴里/돌고?’로 기록되어 있다. 광산앞들(鑛山-) : ‘돌고개1’[마을]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광산앞들’은 ‘광산’과 ‘앞들’로 나뉘며, ‘광산 앞에 있는 들’로 풀이된다. 예전에 ‘돌고개2’[고개]에 금광이 있었고, 그 앞에 있어 붙은 이름이다. 돌고개2/금정간[金店間] : ‘돌고개1’[마을] 서쪽에 있는 고개이다. ‘돌고개2’[고개]는 ‘돌’과 ‘고개’로 나뉘며, ‘돌이 많은 고개’로 풀이된다. 이 고개로 인하여 마을 이름도 ‘돌고개1’[마을]이 되었다. 달리 ‘금정간’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금점간’의 연구개음화 어형이다. 최초의 어형 ‘금점간’은 ‘금점’과 ‘간’으로 나뉜다, ‘금점(金店)’은 ‘금광(金鑛)’과 같은 뜻이고, ‘간(間)’은 ‘대장간’ㆍ‘외양간’ㆍ‘푸줏간’ 등과 같이, 몇몇 명사 뒤에 붙어 ‘장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다. 따라서 ‘금정간’은 ‘금광이 있는 장소’로 풀이된다. 실제 이곳에서는 예전에 금을 캤다. 돌깨너머 : ‘돌고개1’[마을] 동쪽에 있는 고개로, 괴산군 청안면 금신리로 갈 때 넘었다. 고개에 돌이 많아 지게 길을 내느라고 돌을 깨며 넘어 다녔다는 말이 전한다. 그러나 ‘돌깨너머’는 ‘돌고개너머’의 변화형이다. ‘돌고개너머’는 ‘돌고개’와 ‘너머’로 나뉘며, ‘돌고개2[고개] 너머의 장소’로 풀이된다. 현재는 2차선 포장도로가 되었다.모종골[慕亭-] : ‘안까치골’ 북쪽에서 ‘안까치골’과 이어지는 골짜기이다. ‘모종골’은 ‘모정골’의 변화형이다. ‘모정골’은 ‘모정’과 ‘골’로 나뉘며, ‘모정이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모정(慕亭)’은 ‘짚이나 새 따위로 지붕을 이은 정자’를 뜻한다. 농사를 짓는 경작지에서 쉼터 역할을 하는 곳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예전에 모정이 있어 붙은 이름으로 추정된다. 샘너머골 : ‘돌고개2’[고개]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샘너머골’은 ‘샘너머’와 ‘골’로 나뉘며, ‘샘 너머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성내골(城內-)/성니골[城內-]/성리골[城內-] : ‘돌고개1’[마을]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청안면으로 가는 길목이다. ‘성내골’은 ‘성내’와 ‘골’로, ‘성내’는 다시 ‘성’과 ‘내’로 나뉜다. ‘성’은 ‘성(城)’이고, ‘내’는 ‘안[內]’의 뜻이니, ‘성내골’은 ‘성 안쪽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골짜기가 마치 성으로 둘러싸인 것처럼 아늑해서 붙은 이름이다. ‘성니골’과 ‘성리골’은 모두 ‘성내골’의 변화형으로, 그 뜻은 같다.성리고개[城內-] : ‘성내골’에 있는 고개로, 청안면 금신1리(錦新一里)와 경계를 이룬다. 현재는 1차선 포장도로이나, 4차선 확장공사가 진행 중이다. ‘성리고개’는 ‘성리’와 ‘고개’로 나뉘며, ‘성리’는 ‘성내’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성리고개’는 ‘성내골에 있는 고개’로 풀이된다.여수박골 : ‘돌고개1’[마을] 북쪽, 충주대증평캠퍼스 기숙사 쪽으로 있는 골짜기이다. ‘여수박골’는 ‘여수박’과 ‘골’로 나뉘고, ‘여수박’은 다시 ‘여수’와 ‘박’으로 나뉜다. ‘여수’는 ‘여우[狐]’에 대한, ‘박’은 ‘바위’에 대한 방언형이다. ‘여수박’은 지역에 따라 ‘여우바위’ㆍ‘여시바위’ㆍ‘여수배’ 등으로도 나타난다. 그리고 그들 대부분에는 여우 모양을 닮았다거나 여우가 살았다는 유래담이 붙어 있다. 따라서 ‘여수박골’은 ‘여우 모양을 닮은 바위가 있거나 여우가 살았던 바위가 있는 골짜기’이다.코단고개 : ‘돌고개1’[마을] 동쪽에 있는 고개이다. ‘돌고개1’[마을]에서 괴산군 청안면 금신3리 ‘새골’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경사가 급해 지게를 짊어지고 가다보면 허리가 구부러지면서 코가 고개 바닥에 닿을 정도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이는 근거 없는 설명이다. ‘코단고개’는 ‘곶안고개’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곶안고개’는 ‘곶안’과 ‘고개’로, ‘곶안’은 다시 ‘곶’과 ‘안’으로 나뉜다. ‘곶’은 원래 ‘바다나 호수로 뾰족하게 내민 땅[串ㆍ岬]’을 뜻한다. 그러나 이 ‘곶’이 지명에 사용될 경우, 원래 의미와의 관련 아래 ‘들판 쪽으로 산등성이가 쭉 뻗어 나온 곳’을 뜻하게 되었다. 따라서 ‘곶안고개’나 변화형 ‘코단고개’는 ‘들판 쪽으로 산등성이가 쭉 뻗어 나온 곳 안쪽에 있는 고개’로 풀이된다. 이 고개에는 서낭당도 있었으나, 현재는 이용되지 않는다. ‘곶’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증평읍 용강2리 ‘꽃산구링이’를 참고하기 바란다.
- 용강5리(龍江五里) : ‘돌고개1’[마을] 서쪽, 충주대증평캠퍼스 후문 쪽에 있는 서호아파트단지이다.
[ 문화재 ]
곡산연씨열녀각(谷山延氏烈女閣) : 용강3리 331번지에 있는 열녀각이다. 열녀각은 이 지역에 거주하던 장환일(張煥一: 옥구장씨)의 처 곡산연씨(谷山延氏)의 정려이다. 남편이 위독하자 연 씨는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5일간이나 연명시켰으나, 남편은 끝내 세상을 떴다. 그러자 연 씨 또한 약을 먹고 남편을 따라 숨을 거뒀다. 고종 29년(1892)에 영인(令人)에 증직되고, 정려가 명해 졌다. 건물은 정면 1칸ㆍ측면 1칸의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열녀각의 안에는 ‘증조봉대부동몽교관장환일처영인곡산연씨열녀지문(贈朝奉大夫童蒙敎官張煥一妻令人谷山延氏烈女之門)’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비지정문화재이다.ㆍ장용기부부정효각(張龍基夫婦旌孝閣) : 용강3리 547-1에 있는 정효각이다. 정효각은 효자 장용기와 그의 처 능성구씨(綾城具氏)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이 부부는 어머니가 병이 들자 극진히 간호했고, 아버지가 세상을 뜨자 3년간 시묘살이를 했다. 이와 같은 효행을 기리고자 1926년에 유림과 문중에서 정효각을 세웠다. 사당의 건물 구조는 정면 1칸ㆍ측면 2칸의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이다. 사당 안에는 ‘효자효부학생장공용기처유인능성구씨정효문(孝子孝婦學生長公龍基妻孺人綾城具氏旌孝門)’이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비지정문화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