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의 지명

HOME > 증평의역사 > 증평의 지명

증평읍

교통이 편리한 아름다운 산골마을

율리 (栗里)

[ 연혁 ]

율리(栗里)는 본래 조선시대 청안현(淸安縣) 남면(南面) 지역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 기록에는 청안현 남면에 27개리가 있었다. 그 중에서 현재의 율리와 관련된 마을로는 삼기리(三岐里)ㆍ율치리(栗峙里)ㆍ봉천리(奉天里) 등 3개리가 있었다. 그 뒤 율리는 건양(建陽) 원년(1895)에 청안현(淸安縣)이 청안군(淸安郡)으로 승격되면서 청안군의 6개면인 읍내면(邑內面)ㆍ동면(東面)ㆍ남면(南面)ㆍ북면(北面)ㆍ서면(西面)ㆍ근서면(近西面) 중에서 남면(南面)에 속하는 지역이 되었다.『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 당시 청안군 남면은 25개리를 관할하고 있었다. 그 사이 봉천리(奉天里)가 외봉천리(外奉天里)와 내봉천리(內奉天里)로 나뉘었다. 1914년에 일본제국주의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증평면(曾坪面)은 11개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1917)에 따르면, 율리는 남면 삼기리(三岐里)ㆍ율치리(栗峙里)ㆍ외봉천리(外奉天里)ㆍ내봉천리(內奉天里)와 청주군 산외이면(山外二面)의 청유리(淸油里) 일부를 병합하여 만들었다. 이때 율치리와 삼기리의 이름을 따서 율리라 하고, 괴산군 증평면에 편입하였다. 1990년 12월 31일에 지방자치법 제106조 및 충청북도조례 제1864호에 의거하여 괴산군 증평읍에서 충청북도증평출장소(忠淸北道曾坪出張所)로 바뀔 때, 율리는 증천지소(曾川支所) 관할이었다. 2003년 5월 29일에 법률 제6902호 「증평군 설치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고, 부칙에 따라 3개월 뒤인 2003년 8월 30일에 증평군(曾坪郡)이 공식 설치되어 증평군 증평읍 율리가 되었다.

[ 유래 ]

율리는 1914년에 율치리와 삼기리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율리는 증평읍의 가장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최근 휴양촌과 산악자전거 코스가 조성되는 등 증평군의 대표적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다. 2010년 5월 현재 112세대에 197명이 거주하고 있다.

  • 율1리(栗一里) :ㆍ밤티/밤티골/율치((栗峙) : ‘밤고개2’[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밤티’나 ‘밤티골’은 모두 ‘밤고개’ 아래에 있어 붙은 이름이다. ‘율치’는 ‘밤티’를 한자로 표기한 이름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와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의 ‘율치리(栗峙里)’로 불리던 곳이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도 ‘栗峙/밤티’로 기록되어 있다. 지금으로부터 약 380여 전에 김치(金緻, 임진왜란 때 순국한 진주목사 김시민의 양아들, 인조반정 때의 공신)의 후손들이 정착하면서 이룬 마을이다. 마을 뒤편에는 김치와 그의 아들 김득신, 손자의 묘소가 자리 잡고 있다. 율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최근에는 휴양촌이 조성되어 있어 각종 연수와 행사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김득신(金得臣)은 ‘율협도중(栗峽道中)’과 ‘율협(栗峽)’이란 제목으로 ‘밤티골’을 노래하고 있다.
  • 율2리(栗二里) : ㆍ봉천리(奉天里) : ‘밤티’ 북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에 ‘봉천리(奉天里)’로 기록되어 있고,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는 ‘내봉천(內奉天)’과 ‘외봉천(外奉天)’으로 나뉘어 기록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고유지명 없이 ‘內奉天’과 ‘外奉天’으로 기록되어 있다. 봉천리는 하음봉씨(河陰奉氏)들이 처음 터를 잡고 마을을 이루기 시작해서 붙인 이름이다.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端宗)을 폐위시킨 세조 2년(1456)에, 성삼문?방팽년?유응부 등 사육신들은 단종 복위를 도모하였다. 이들이 거사에 실패하자 사옹원별좌(司饔院別座) 봉여해(奉汝諧)는 세조를 살해하기 위해 칼을 차고 어전(御殿)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도중에 의금부(義禁府)에 발각되어 죽게 되었다. 이후 봉여해의 친족들은 참화(慘禍)를 면하기 위해 전국으로 흩어지게 되었는데, 그 중 일부가 이곳에 정착하여 살게 되었다고 한다. 봉 씨들이 앞산에 올라 고향인 강화도(江華島)를 쳐다보며 향수를 달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한양에서 봉 씨들의 일족을 멸살하기 위해 찾아오는 관리들을 감시하기도 했다고 전한다. 봉천리는 ‘바깥봉천이[外奉天]’와 ‘안봉천이[內奉天]’로 나뉜다. 전자는 봉천리 중 바깥쪽에 있는 마을로, ‘머릿돌은혜원’이 있는 곳이다. 후자는 봉천리 중 안쪽에 있는 마을로, 괴산군 청안면 ‘질마재’로 넘어가는 곳에 있다. 구석산(-山) : ‘바깥봉천이’ 북서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 460.8m이다. 괴산군 청안면 문방리(文芳里)와 경계를 이룬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與地勝覽)』청안현(淸安縣) 불우조(佛宇條)에는 “구석사재좌구산세전건읍초기리산지고취수족지신자이명구석유조회기(龜石寺在座龜山世傳建邑初忌離山之鼓取水族之腎者而名龜石有曹繪記)” 즉 “구석사는 좌구산에 있다. 세상에 전해지는 말에, 이 고을을 세웠을 때 남쪽 산이 높은 것을 꺼려 이 절을 세우고 수족(水族)의 신인 거북의 이름을 따서 구석이라 했다는 조회(曺繪)의 기록이 있다.”라는 뜻이다. 이 기록대로라면 구석산은 ‘구석사’와 관련되며, ‘거북 모양의 돌이 있는 산’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구석산’은 ‘구석’과 ‘산’으로 나뉘며, ‘구석에 있는 산’으로 풀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망나지골 : ‘안봉천이’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망나지골’은 ‘망나지’와 ‘골’로 나뉜다. 여기서 ‘망나지’의 뜻은 분명하지 않으나, ‘망나니’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망나니’는 ‘노래기’를 뜻하니, ‘망나지골’은 ‘노래기가 많은 골짜기’로 풀이된다.망월장등(望月-) : ‘안봉천이’ 뒤[북쪽]에 있는 산마루이다. ‘망월장등’은 ‘망월’과 ‘장등’으로 나뉘며, ‘달을 바라보는 산마루’로 풀이된다. ‘장등’은 ‘산마루’의 충청도방언형이다. 물치폭포(-瀑布) : ‘바깥봉천이’와 ‘안봉천이’ 사이에 있는 폭포이다. ‘물치폭포’는 물치와 폭포로 나뉜다. 여기서 ‘물치’는 그 뜻이 분명하지 않다. 지역에 따라서는 ‘물이 내리치는’ 뜻과 관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밤나무단지(-團地) : ‘안봉천이’ 남서쪽에 있다. ‘밤나무단지’는 ‘밤나무’와 ‘단지’로 나뉘며, ‘밤나무가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는 곳’으로 풀이된다. 이곳은 예전에 밤나무가 많았지만, 지금은 벌목을 해서 그리 많지 않다. 봉천골(奉天-) : ‘밤티’에서 ‘바깥봉천이’로 가는 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봉천골’은 ‘봉천’과 ‘골’로 나뉘며, ‘봉천리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안골 : ‘바깥봉천이’에서 구석산 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안골’은 ‘안’과 ‘골’로 나뉘며, ‘안쪽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일라지골 : ‘안봉천이’ 동남쪽, ‘망나지골’ 옆에 있는 골짜기이다. 충남 공주시 의당면 덕학리 ‘일라동’[마을]은 달리 ‘이라울’로도 불린다. 그러나 ‘일라동’이나 ‘이라울’의 어원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본 예도 ‘일라지’와 ‘골’로 나뉘나, ‘일라지’의 뜻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할미당(-堂) : ‘물치폭포’ 위쪽, 산 정상에 있던 제단이다. ‘할미당’은 ‘서낭당’을 말한다. ‘서낭당’은 ‘서낭에게 제사하기 위한 제단’으로, 지방에 따라 성황당(城隍堂)ㆍ할미당(-堂: 전남)ㆍ천황당’(天隍堂: 경북)ㆍ국사당(國師堂: 평안) 등 여러 가지로 불린다. 과거 이곳에는 서낭에게 제사하는 제단이 있었다. ‘서낭당’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증평읍 초중2리 ‘서낭골’을 참고하기 바란다.

[ 문화재 ]

율리석조관음보살입상(栗里石造觀音菩薩立像) : 증평 시가지에서 청원군 내수읍 초정리 방면으로 503번지방도를 따라 가면 증평읍 율1리에 이른다. 이 불상은 율1리 앞의 들판에 있던 석조물인데, 1979년에 율리저수지가 건설되면서 수몰되자 지금의 위치인 저수지 서편 언덕으로 옮겨졌다. 당시 보살입상(菩薩立像) 밑에서 지석(誌石)이 출토되었는데, “대시주 서정민 서경술 석수 박노적 박성립 화주 한두성 숭정후 갑신년 10월 일 입(大施主徐丁民徐京戌石手朴老赤朴成立化主韓斗星崇禎後甲申年十月日立)”이라는 기록이 있었다. 이로 보아 보살입상은 숙종 30년(1704)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화강암으로 다듬어진 보살입상은 높이 2.10m로, 불신(佛身)은 육중하며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상호는 마멸이 심해 원형을 알 수 없고, 귀는 어깨에 닿았으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없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고 위로 들어 가슴에 얹은 시무외인(施無畏印)이고, 왼손은 아래로 늘어뜨린 여원인(與願印)의 수인(手印)을 하고 있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으로 활모양의 주름을 하고 있는데, 허리에 띠를 두른 듯하다. 2002년 3월15일에 충청북도문화재자료 제36호로 지정되었다. 이 보살입상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 옛날 마을의 한 노인이 미륵을 정성껏 모시다가 그만 귀찮아서 더 이상 모시지 않았다. 그랬더니 노인의 머리에 부스럼이 많이 났다. 노인은 백방으로 처방해보았으나 효험이 없었다. 이에 미륵에게 다시 빌었더니 씻은 듯이 나았다. 또 미륵 옆에서 논일을 하던 농부가 새참을 먹고 있는데, 아무런 이유 없이 논두렁이 무너져 내렸다. 이에 미륵에게 약간의 공양을 하였더니 더 이상 논두렁이 무너지지 않았다. 이때부터 농부는 무엇을 먹더라도 미륵에게 공양을 했다. 또 아들이 없어 고민하던 부녀자가 미륵에게 치성을 드리고 한 번에 삼형제를 출산했다. 미륵의 영험으로 간주해 “아들 하나만 데려가라.”며 기도를 올렸더니, 이번에는 삼형제를 한꺼번에 데리고 갔다. ㆍ율리3층석탑(栗里三層石塔) : 증평읍 송산리 253에 있다. 증평 시가지에서 청원군 내수읍 초정리 방면으로 503번지방도를 따라 가면 증평읍 율1리에 이른다. 여기서 동북쪽 계곡을 따라 약 2km 쯤 들어서면 구석산(龜石山)의 구석사(龜石寺) 터에 이른다. 이 터에 3층 석탑의 탑재가 흩어져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민속체험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與地勝覽)』 청안현(淸安縣) 불우조(佛宇條)에는 “구석사재좌구산세전건읍초기리산지고취수족지신자이명구석유조회기(龜石寺在座龜山世傳建邑初忌離山之鼓取水族之腎者而名龜石有曹繪記)” 즉 “구석사는 좌구산에 있다. 세상에 전해지는 말에, 이 고을을 세웠을 때 남쪽 산이 높은 것을 꺼려 이 절을 세우고 수족(水族)의 신인 거북의 이름을 따서 구석이라 했다는 조회(曺繪)의 기록이 있다.”라는 뜻이다. 일제강점기 기록인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는 사지(寺址)와 탑(塔)을 언급해, “구석산 국유림의 율리에 있으며, 전(田)으로 변해서 반 헐어서 깨진 석탑이 있다.”고 했다. 이 탑은 복원하는 과정에서 본래의 모습을 잃었다. 높이는 1.6m이다. 기단(基壇)의 갑석(甲石)과 1층 탑신(塔身), 옥개석(屋蓋石), 2?3층 옥개석(屋蓋石)이 남아 있을 뿐이며 상륜부(上輪部)는 결실되었다. 기단갑석(基壇甲石)은 복련(伏蓮)의 연판(蓮瓣)을 조각하고 고임을 마련했으며, 너비 68cm?높이 16cm이다. 1층 탑신(塔身)은 우주(隅柱)가 조각되어 있으며 너비 40.5cm?높이 20.5cm이고, 옥개석(屋蓋石)은 3단 받침에 고임을 마련했으며 너비 80cm?높이 30.2cm이다. 2층 옥개석은 3단의 받침에 고임을 마련했으며 너비 67cm?높이 28.3cm이다. 3층 옥개석은 3단의 받침에 고임을 마련했으며 너비 51cm?높이 17cm이다. 이 탑은 옥개석(屋蓋石)의 전각(轉角)이 파손됐으나, 기단갑석(基壇甲石)은 복련(伏蓮) 등에 보이는 조각수법 등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ㆍ김치묘소(金緻墓所) : 율1리 ‘밤티’에 있는 김치의 묘소이다. 묘소 앞에는 현종 15년(1674)에 세운 묘갈이 있는데, 비문(碑文)은 아들 백곡(栢谷) 김득신(金得臣)이 짓고 글씨는 손자사위 최선(崔渲)이 썼다. 안흥군(安興君) 남봉(南峰) 김치(金緻: 1577∼1625)는 본관이 안동(安東)이다. 자는 사정(士精)이고, 호는 남봉(南峯)ㆍ심곡(深谷)이다. 문과에 급제하고, 광해군 때 대사간?병조참의를 지내다가 파직되었다. 인조반정 후에 대북(大北)으로 몰려 귀양을 갔다. 이후 김치는 동래부사를 거쳐 경상도관찰사를 지냈다. ㆍ김득신묘소(金得臣墓所) : 율1리 ‘밤티’에 있는 김득신의 묘소이다. 묘갈(墓碣)은 숙종 14년(1688)에 묘소 앞에 세웠는데, 비문은 유재(游齎) 이현석이 짓고 글씨는 9촌 조카인 김봉지(金鳳至)가 썼다. 2004년 4월 30일에 증평군유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었다. 안풍군(安豊君) 백곡(栢谷) 김득신(金得臣: 1604∼1684)은 본관이 안동(安東)이다. 김치의 아들로, 자는 자공(子公)이고, 호는 백곡(栢谷)이다. 음보(蔭補)로 참봉을 지내고 문과에 급제해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라 안풍군(安豊君)에 습봉(襲封)되었고, 시인으로 이름을 얻었다. ㆍ율리철화백자도요지(栗里鐵畵白磁陶窯址) : 증평읍 율1리 ‘솥점말’에서 율2리 ‘외봉’으로 이어지는 소로를 따라 약 600m 정도 올라가면 작은 다리가 있다. 여기서 소하천 서쪽의 경작지를 따라 약 100m 정도 올라가면 큰 밭에 도요지가 있다. 현재 도요지의 윤곽은 파악하기 힘드나, 불에 탄 흙과 도편들이 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발견되는 도편(陶片)들은 철화백자편들로, 백색의 유조를 보이는 대접과 직경 4.5cm의 원을 긋고 그 안에 ‘복(福)’명을 새긴 도편 등이다. 철화백자편들은 바닥의 접지부기에서 모래받침 흔적이 남아 있고, 역삼각형굽이 많다. 조선 후기 도요지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