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의 지명

HOME > 증평의역사 > 증평의 지명

도안면

금당과 좌실 두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진 마을

도당리 (道塘里)

[ 연혁 ]

도당리는 본래 조선시대 청안현 북면(北面) 지역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 기록에 청안현 북면에 33개리가 있었다. 그 중에서 현재의 송정리와 관련된 마을로는 금당리(金撞里)ㆍ진암상리(鎭岩上里)ㆍ진암하리(鎭岩下里)ㆍ한성은행정리(漢城銀杏亭里) 등 4개리가 있었다. 그 뒤 도당리는 건양(建陽) 원년(1895)에 청안현(淸安縣)이 청안군(淸安郡)으로 승격되면서 청안군의 6개면인 읍내면(邑內面)ㆍ동면(東面)ㆍ남면(南面)ㆍ북면(北面)ㆍ서면(西面)ㆍ근서면(近西面)중에서 북면(北面)에 속하게 되었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서도 당시 청안군 북면은 33개리를 관할하고 있었다. 그 사이 진암상리(鎭岩上里)ㆍ진암하리(鎭岩下里)가 진암리(鎭岩里)로 합쳐졌으며, 도암리(道岩里)가 새로 생겼다. 1914년에 일본제국주의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도안면(道安面)은 7개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1917)에 따르면, 도당리는 북면 금당리(金撞里)ㆍ도암리(道岩里)ㆍ진암리(鎭岩里)ㆍ은행정리(銀杏亭里)의 일부와 청안군(淸安郡) 근서면(近西面) 명암리(鳴岩里) 일부, 괴산군(槐山郡) 서면(西面) 진암리(眞岩里) 일부를 병합하여 만들었다. 이때 도암리와 금당리의 이름을 따서 도당리라고 하고, 괴산군 도안면에 편입하였다. 광복 이후 1948년 8월 15일에 정부가 수립되고, 동년 11월 17일에 법률 제8호 「지방 행정에 관한 임시 조치법」이 제정ㆍ공포됨에 따라 괴산군 도안면 도당리가 되었다. 1990년 12월 31일에 충청북도조례 제1864호에 의거하여 괴산군 도안면에서 충청북도증평출장소(忠淸北道曾坪出張所)로 바뀔 때, 도당리는 도안지소(道安支所) 관할이었다. 2003년 5월 29일에 법률 제6902호 「증평군 설치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고, 부칙에 따라 3개월 뒤인 2003년 8월 30일에 증평군(曾坪郡)이 공식 설치되어 증평군 도안면 도당리가 되었다.

[ 유래 ]

도당리는 1914년에 도암리의 ‘도(道)’자와 금당리의 ‘당(塘)’자를 따서 만들었다. 도당리는 도안면사무소에서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도안삼거리에서 괴산 방향으로 충북선 철도 지하도를 지나면서 시작해 동으로는 사리면 방축리, 동남으로는 청안면 읍내리, 남으로는 증평읍 사곡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2010년 5월 현재 138세대에 301명이 거주하고 있다.

  • 도당1리(道塘一里) :ㆍ금당(金塘) : 도당1리의 중심마을로, 34번국도와 청안으로 가는 지방도 주변에 있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에 ‘금당리(金撞里)’로 기록되었다가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과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금당(金塘)’으로 바뀌어 기록되었다. ‘금당(金塘)’이라는 지명이 암시 하듯 마을에는 못이 하나 있었다. 옛적 이 마을에는 화재가 자주 발생했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날 한 도사가 지나가면서 못을 파면 화재가 멎을 것이라고 하여 마을에 못을 팠는데, 그 후로는 불이 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금당’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겨난 듯하다. 못의 물이 많을 때에는 농수용으로 쓰기도 했으나, 물이 점점 메말라 버려 쓸모없게 되자 몇 년 전 마을 공사를 하면서 못을 메웠다고 한다. 그 못은 현재 마을회관[경로당] 우측에 있었는데, 못을 메우고 뚜껑을 덮어 놓은 흔적만이 보일 뿐이다. 조선시대 ‘금당’은 천안과 사리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였다. 현재 마을이 들어서 있는 도로가를 중심으로 정육점ㆍ포목점ㆍ주막 등 많은 가게들이 늘어서 있으며, 특히 ‘금당서원’이 있었기 때문에 마을로 들어오는 사람들 중 신분이 낮은 사람은 반드시 말에서 내려 걸어서 마을을 지나갔다고 한다. 이 마을이 얼마나 번창했는가는 1970년대 말 도로공사를 하면서 수많은 주춧돌이 나왔다는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본래 ‘금당’에 처음 입주한 성씨는 청주한씨와 현풍곽씨였다고 한다. 현재 이 마을에는 청주한씨와 현풍곽씨가 거주하고 있지는 않지만, ‘금당’에서 ‘좌실’로 넘어가는 ‘서낭댕이고개’ 밑에 청주한씨의 묘소 3기가 있고, 금당마을회관 뒤편 오른쪽 언덕에 현풍곽씨의 묘소가 조성되어 있어 이 두 성씨가 살았음을 알려주는 근거가 된다. ‘금당’은 ‘안말’ㆍ‘골말’ㆍ‘새터/새터말’로 나뉜다. ‘안말’은 마을회관이 자리 잡은 곳으로, ‘안쪽에 있는 마을’로 풀이된다. 골말은 ‘서낭댕이’ 아래쪽에 있는 마을로,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풀이된다. ‘새터/새터말’은 ‘증평농협벼건조센터’ 맞은편에 있는 마을로, ‘새로 잡은 터에 생긴 마을’로 풀이된다. ㆍ좌실(坐-)/진암(鎭岩) : ‘금당’ 북동쪽 골짜기 34번도로 가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에는 ‘진암상리(鎭岩上里)’와 ‘진암하리(鎭岩下里)’로 나뉘어 기록되었다가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는 합쳐져 ‘진암리(鎭岩里)’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鎭岩/좌실’로 기록되어 있다. ‘진암’은 바위와 관련되는 지명으로, 그 뜻은 분명하지 않다. ‘좌실’이란 이름과 관련된 유래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옛날 좌수(座首)가 이 마을에 살아 붙은 이름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증거는 없다. 다른 하나는 마을 앞 도로변의 주막거리 즉, 지금의 버스승강장을 중심으로 술집ㆍ떡집ㆍ밥집ㆍ묵집 등이 형성됐는데 과객들이 이 주막거리에 모여앉아 놀다 갔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는 것이다. 이 견해가 믿음이 간다. ‘좌실’은 ‘좌’와 ‘실’로 나뉜다. ‘좌’는 ‘좌실’ 외에 ‘좌동’ㆍ‘좌산’ㆍ‘좌송’ㆍ‘좌골’ㆍ‘좌암’ 등에 쓰이는데, 많은 경우 ‘앉다’와 관련된다. 특히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의 ‘좌암[마을]’은 달리 ‘안진바위’로도 불린다. 그렇다면 ‘좌’는 ‘앉을 좌(坐)’로 대응된다. 따라서 본 예 ‘좌실’도 ‘좌실(坐-)’로 보아, ‘앉아 놀다가는 마을’로 풀이된다. 주막거리는 마차 하나가 겨우 지나갈 정도의 좁은 길이었는데 도로공사를 하면서 사라져 지금은 자취조차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 ‘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증평읍 사곡2리 ‘밤실골’을 참고하기 바란다. 굴바위 : ‘좌실’ 왼쪽 뒷산에 있는, 커다란 굴속의 돌이다. 굴은 매우 넓어, 6ㆍ25 당시 마을 주민들이 이곳으로 피난을 갔다고 한다. 금당들(金塘-) : ‘금당’ 앞에 있는 너른 들이다. ‘금강목재’와 ‘풍남레미콘’ 앞에서 34번국도 주변까지 펼쳐진 들이다. 보강천에 붙어 있다. 금당보(金塘洑) : ‘금당’ 동남쪽, ‘충북어린이집’ 서쪽에 있는 보이다. 보강천에 설치된 보로, ‘금당들’에 농업용수를 공급한다. 둔터골 : 마을회관에서 오른쪽, ‘안양축협창고’가 있는 곳이다. 마을 앞산에는 넓고 큰 바위가 있는데, 그곳에서 장수들이 글을 배웠다고 전한다. 현재도 그 바위 위에 글씨가 보인다. ‘둔터골’은 ‘둔터’와 ‘골’로, ‘둔터’는 다시 ‘둔’과 ‘터’로 나뉜다. ‘둔’은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하나는 ‘둔전(屯田)’과의 관련이다. ‘둔전’은 ‘주둔병의 군량을 자급하기 위해 마련된 밭’이니, ‘둔터골’은 ‘둔전 터가 있던 마을’이 될 것이다. 다른 하나는 ‘둔덕’과의 관련이다. ‘둔덕’은 ‘두두룩하게 언덕진 곳’이니, ‘둔터골’은 ‘두두룩하게 언덕진 곳에 자리 잡은 마을’이 될 것이다. 본 예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쳐 있고 마을이 둔덕처럼 높직한 곳에 자리 잡고 있음을 감안할 때, 후자의 의미로 풀이될 수 있다. 매화나무골(梅花-) : ‘금당’에서 ‘은행정’으로 가는, ‘금당’ 끝부분에 있는 골짜기이다. ‘매화나무골’은 ‘매화나무’와 ‘골’로 나뉘며, ‘매화나무가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방구배기 : 좌실마을회관 앞에 있는 논이다. ‘방구배기’는 ‘방구’와 ‘배기’로 나뉜다. ‘방구’는 ‘바위’의 방언형이고, ‘배기’는 ‘박이’의 이모음역행동화 어형이다. ‘박이’는 ‘박다’의 어간 ‘박’에 접미사 ‘이’가 붙은 어형으로, ‘박혀 있는 곳’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방구배기’는 ‘바위가 박혀 있는 곳’으로 풀이된다. 이곳에는 커다란 바위가 하나 놓여 있다. 주민들은 이 바위를 특별히 위하지는 않지만 마을을 보살펴 준다고 믿고 있기에 마을이 생긴 이래 누구도 손을 대지 않았다고 한다. 변산골(邊山-) : ‘서낭댕이’ 밑의 청주한씨네 묘가 있는 골짜기이다. ‘변산골’은 ‘변산’과 골로 나뉜다. ‘변산’은 ‘가에 있는 산’이니, ‘변산골’은 ‘가에 있는 산골’로 해석된다. 새골 : ‘둔터골’을 조금 지나 ‘은행정’으로 가는 왼쪽 골짜기이다. ‘새골’은 ‘새’와 ‘골’로 나뉘며, ‘새로 이용하게 된 골짜기’라서 붙은 이름이다. 서낭댕이[-堂-] : ‘금당’ 북쪽에 있는 고개로, ‘좌실’로 갈 때 이용하였다. 예전에 큰 나무와 서낭이 있었으나, 현재는 포장도로가 되었다. ‘서낭댕이’는 ‘서낭당’에 접미사 ‘이’가 붙어 ‘서낭당이’가 되고, 이모음역행동화에 의해 ‘서낭댕이’가 된 것이다. 따라서 ‘서낭댕이’는 ‘서낭당이 있는 곳’으로 풀이된다. ‘서낭당’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증평읍 초중2리 ‘서낭골’을 참고하기 바란다. 서당골(書堂-)/서당동(書堂洞) : ‘금당’ 남쪽으로, ‘금당’과 이어진 골짜기이다. 현풍곽씨 묘소가 있는 왼쪽 언덕이다. ‘서당골’이나 ‘서당동’은 ‘금당서원’이 있던 곳의 서쪽에 해당되어 붙은 이름이다. 수재 : ‘금당’ 동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가 197m이다. ‘수재’는 ‘수’와 ‘재’로 나뉜다. ‘수’는 ‘술’의 변화형이다. ‘술’과 ‘수리’는 ‘봉우리’을 뜻하는 말로, 고구려어ㆍ백제어 ‘述’[*?ur]ㆍ‘述?’[*?uri]ㆍ‘首泥’[*?uni]로 소급되며, 중세국어에서는 ‘수늙[嶺]’으로 나타난다. 『삼국사기』에 보면 이들은 주로 중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고대 한반도의 중부 지역에서 기원한 백제어 지명으로 보인다. 比豊郡本百濟雨述郡, 陰峯縣本百濟牙述縣, 黃原縣本百濟黃述縣(三國史記 卷 36), 述?忽縣一云首泥忽(三國史記 卷 37), 東녁 수늘게 구루미 나니 西ㅅ녁 수늘기 하야?고(南明下 19), 묏봉오리 봉(峯)(字會上 3) 그런데 이 ‘술’은 후부요소뿐만 아니라 전부요소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술’ 외에도 ‘수레’ㆍ‘수리’ㆍ‘수’로 나타나, ‘봉우리’나 ‘높다’로 풀이된다. 따라서 ‘수재’는 ‘술재’의 경구개음 ‘ㅈ’ 앞에서 ‘ㄹ’이 탈락한 어형으로, ‘높은 고개’로 풀이된다. 시두물 : ‘금당’ 앞에 있는 들이다. ‘시두물’은 ‘싣우물’의 연철표기이다. ‘싣우물’은 ‘싣’과 ‘우물’로 나뉘며, ‘싣나무가 있는 우물’로 풀이된다. ‘싣나무’는 ‘신나무’의 옛말이다. 이 ‘싣나무’를 한자로 옮기면 ‘풍(楓)’에 해당한다. 『훈몽자회』에도 ‘싣나모 풍: 楓(상 10)’으로 나온다. 따라서 싣우물은 보통 풍정(楓井)으로 불리기도 한다. 신나무는 단풍나뭇과의 낙엽 소교목으로, 개울이나 습지에 나는데 높이 8m에 달하고 작은 가지에 털이 없다. 잎은 마주 나고 달걀꼴 타원형이다. 초여름에 담녹색의 꽃이 피고, 가을에 단풍이 들며, 줄기는 기구나 지팡이의 자료로 쓰이고 잎은 염료로 쓰인다. 이곳은 물이 귀했다. 따라서 과거 신나무가 있는 우물이 있어 요긴하게 이용되었을 것이다. 시두물보(-洑) : ‘시두물’에 있는 보이다. ‘시두물보’는 ‘시두물’과 보로 나뉘며, ‘시두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보’로 풀이된다. 안골 : 좌실마을회관 북쪽으로, 마을회관과 붙어 있는 골짜기이다. ‘안골’은 ‘안’과 ‘골’로 나뉘며, ‘안쪽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여우배 : ‘금당’에서 마주 보이는 산이다. ‘여우배’는 ‘여우’와 ‘배’로 나뉜다. ‘배’는 ‘바위’의 방언형으로, ‘여우배’는 ‘여우바위’를 뜻한다. 바위 이름이 아니라 산 이름으로 쓰였는데, 이는 이 산에 ‘여우배’가 있기 때문이다. 전국적으로 ‘여우바위’나 ‘여수바위’는 수없이 많다. 이들은 대부분 여우가 살았다거나, 여우가 새끼를 쳤다거나, 여우처럼 생겼다는 유래담이 관련되어 있다. 옹기점골(甕器店-) : ‘좌실’ 오른쪽 산에 이르는 골짜기이다. ‘옹기점골’은 ‘옹기점’과 ‘골’로 나뉘며, ‘옹기를 구워 팔던 점’으로 풀이된다. 좌수골[坐-] : ‘서낭댕이’에서 100m 지점의 ‘좌실’ 쪽에 있다. 오른쪽으로 ‘수재산’을 오르는 골짜기이다. ‘좌수골’은 ‘좌수’와 ‘골’로 나뉘며, ‘부근에 좌수가 사는 골짜기’나, ‘좌수가 넘어 다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좌수’는 ‘아관(亞官)’으로도 부르는데, ‘조선 시대, 향소(鄕所)의 우두머리’를 말한다. 뒤에 ‘향장(鄕長)’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본 예는 ‘좌수’와 관련되었는지의 여부가 확실하지 않다. ‘좌실’ 쪽에 있다는 위치상 특성으로 미루어 ‘좌실골’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좌실골’은 ‘좌실에 있는 골짜기’를 뜻한다. 좌실들(坐-) : ‘좌실’ 앞에 있는 들이다. ‘좌실들’은 ‘좌실’와 ‘들’로 나뉘며, ‘좌실에 있는 들’로 풀이된다. 주막거리(酒幕-) : ‘좌실’ 입구 ‘충북어린이집’ 맞은편 버스승강장 자리를 말한다. 예전에 술ㆍ떡 등을 팔던 주막이 늘어서 있던 곳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찬샘골/한천동(寒井洞) : ‘서당골’ 옆에 있는 골짜기이다. ‘찬샘골’은 ‘찬샘’과 ‘골’로 나뉘며, ‘찬 샘이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달리 ‘한천동’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찬샘골’을 한자로 바꾼 이름이다. 이곳에는 찬 샘이 있는데, 옻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들이 이 샘물로 목욕을 하면 씻은 듯 나았다고 한다. 청룡뿌리[靑龍-] : ‘금당’을 둘러싸고 있는 산등성이의 끝자락을 가리킨다. 좌청룡우백호(‘左靑龍右白虎)와 관련된 지명으로, 마을 왼쪽을 감싸고 있는 산줄기이다. ‘뿌리’는 ‘부리’에 어원을 둔다. ‘부리’는 백제어 ‘夫里’(*부리)에 소급되는데, ‘城’이나 ‘洞’을 뜻하는 고구려어 ‘忽’(*홀ㆍ*골), 신라어 ‘火ㆍ伐’(*불)과 동계어로 추정된다. 다만 현대 지명에 쓰이면서 ‘산부리’의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청룡뿌리’는 본래 ‘마을 왼쪽에 발달된 산부리’로 풀이된다. ‘부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증평읍 송산2리 ‘모종뿌리’를 참고하기 바란다. 통새이들[桶-] : ‘서낭댕이’가 있는 마을 뒤편의 들이다. 좌실마을회관 서쪽으로, ‘충북어린이집’이 있는 골짜기이다. ‘통새이들’은 지명에서 흔히 보이는 ‘통새들’과 관련된다. ‘통새들’은 ‘통샘들’의 변화형이다. 여기서 ‘통(桶)’은 ‘어떤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나무ㆍ금속ㆍ플라스틱 등으로 깊이가 있게 만든 물건’을 뜻한다. 따라서 ‘통새들’은 ‘통을 엎어 놓은 듯 동그랗게 생긴 샘이 있는 들’로 풀이된다. 황새머리 : ‘좌실’로 들어가는 왼쪽에 자리 잡은, ‘금강제재소’가 있는 곳이다. ‘황새머리’는 ‘황새’와 ‘머리’로 나뉜다.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의 ‘학수’라는 마을은 ‘황새머리’로도 불린다. ‘학수’는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고, ‘학수골’ㆍ‘학수논’ㆍ‘학수대’ㆍ‘학수동’ㆍ‘학수터’에서와 같이 전부요소로 자주 쓰이는 어형이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지형이 학의 머리를 닮았다’는 유래담과 관련되어 있다. 그렇다면 ‘황새머리’ 또한 ‘황새[학]의 머리를 닮은 터’로 풀이된다.
  • 도당2리(道塘二里) :ㆍ도암(道岩)/막골 : ‘도토성’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 ‘도암(道岩)’이 표기되어 있고,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道岩/막골’로 기록되어 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이 마을은 1912년 무렵에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예전에, 도당리 621-3번지에 ‘도암사(道岩寺)’라는 절이 있어서 ‘도암’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전한다. 약 40년 전만 해도 밭을 일굴 때 절을 떠받쳤던 주춧돌이나 기왓장에 나왔다고 한다. 이 절이 어느 때에 지어져 언제 없어졌는지 아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현재도 그곳에 가면 검은 기와조각들을 볼 수 있다. ‘도암’은 달리 ‘막골’로 부르기도 한다. ‘막골’은 ‘막’과 ‘골’로 나뉜다. ‘막’은 동사 ‘막다’의 어간이다. 따라서 ‘막골’은 ‘막은 것처럼 보이는 좁은 마을’로 풀이된다. 이 마을은 남쪽으로부터 칠보산맥을 타고 내려 온 산맥이 마을 상단 남쪽에서 동쪽과 서쪽으로 갈라져 삼면을 가로막았고, 마을 끝에 와서 양쪽 산맥이 끝났다. 이 마을 뒤편으로는 ‘매봉산’이 있어 마을을 감싸 안고 있다. 따라서 산을 뒤로 하고 가옥이 지어져 있어 좌향은 주로 동향과 서향이다. 이 마을에는 동계가 조직되어 있다. 동계는 1940년대에 설립되었는데, 마을 주민들의 단합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년에 한 번 연말이나 연초에 마을회의를 하여 마을의 대소사를 의논하기도 하고, 이장을 선발하기도 한다. 또 연반계가 있는데, 이는 마을에 상이 나면 계원이 일을 나누어 도와주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ㆍ도토성(道土城, 都土城) : ‘도암’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와 증평읍 사곡리의 경계가 되는 곳의 북쪽에 있다. ‘도토성’은 마을이 토성으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 전혀 관련 기록이 없다. 굴창이골 : ‘도암’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과산군 사리면(沙梨面) 방축리(方丑里)와 경계를 이룬다. ‘굴창이골’은 ‘굴창이’와 ‘골’로 나뉜다. ‘굴창이’는 ‘굴창’에 접미사 ‘이’가 붙은 어형이고, ‘굴창’은 ‘골짜기’의 방언형이다. 따라서 ‘굴창이골’은 ‘골짜기’로 풀이된다. ‘골짜기’를 뜻하는 ‘굴창이’와 ‘골’이 반복된 유의중복 어형이다. 도토성들(道土城-, 都土城-) : ‘도토성’ 남쪽에 있는 들이다. 괴산군 청안면 청룡리와 경계를 이룬다. ‘도토성들’은 ‘도토성’과 ‘들’로 나뉘며, ‘도토성에 있는 들’로 풀이된다. 도토성산(道土城山, 都土城山) : ‘도토성’ 북쪽에 있는 산으로, 114.0m이다. 도안면과 경계에 있다. ‘도토성산’은 ‘도토성’과 ‘산’으로 나뉘며, ‘도토성에 있는 산’으로 풀이된다. 두루봉(-峰)/두래미 : 마을회관 왼쪽, ‘농기계보관창고’ 뒤편에 있는 산봉우리이다. ‘두루봉’은 ‘두루’와 ‘봉’으로 나뉜다. ‘두루’는 ‘두르다[휘감아 싸다]’의 어간 ‘두르’의 변화형이다. 지명에서 ‘두루’는 ‘두루미’ㆍ‘두루바우’ㆍ‘두루배미’ㆍ‘두루산’ 등에서 발견되는데, ‘휘감아 싸다’를 뜻한다. 한자로는 ‘둥글다 원(圓)’이 대응된다. 따라서 ‘두루봉’은 ‘휘감아 싼 봉우리’로 풀이된다. ‘두루봉’은 지역에 따라서는 ‘두로봉’ㆍ‘두류봉’ㆍ‘두리봉’으로도 나타난다. 다른 이름 ‘두래미’는 ‘두래’와 ‘미’로 나뉜다. ‘두래’는 ‘두루’와 마찬가지로, ‘두르다[휘감아 싸다]’의 어간 ‘두르’의 변화형이다. 그리고 ‘미’는 봉우리를 뜻한다. 따라서 ‘두래미’ 또한 ‘두루봉’과 그 뜻이 같다. ‘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송산2리 ‘안자산2’를 참고하기 바란다. 말거리보(-洑)/말가리보[-洑] : ‘도토성’ 동쪽에 있는 보이다. 괴산군 청안면과 경계가 되며, 물이 많다. ‘말거리’는 ‘말’과 ‘거리’로 나뉜다. 지명에서 ‘말’은 ‘말개’ㆍ‘말거리’ㆍ‘말고개’ㆍ‘말골’ㆍ‘말마루’ㆍ‘말둠벙’ㆍ‘말미’ㆍ‘말바우’ㆍ‘말배미’ㆍ‘말우물’ㆍ‘말재’ㆍ‘말티’ 등에서 흔히 발견되는 전부요소이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말[馬]’과 관련된 유래담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발견되는 수많은 ‘말’계 지명들이 모두 ‘말’과 관련될 수는 없다. 여기서 ‘말’은 접두사로, ‘일부 명사에 붙어, 큰 것임을 나타내는 말’로 보아야 한다 실제로 ??말??은 ‘말거미’ㆍ‘말냉이’ㆍ‘말다래’ㆍ‘말매미’ㆍ‘말벌’ㆍ‘말조개’ 등 지명 외에도 쓰여 ‘큰 것’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말거리’는 ‘큰 거리[大街]’로, ‘말거리보’는 ‘큰 거리에 있는 보’로 풀이된다. 다른 이름 ‘말가리보’는 ‘말거리보’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매봉산(-峰山) : ‘도암’ 뒤쪽에 있는 산이다. 주민들의 전언에 따르면, ‘매봉산’은 매가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라는 것이다. ‘매봉산’은 ‘매봉’과 ‘산’으로, ‘매봉’은 다시 ‘매’와 ‘봉’으로 나뉜다. 전국에 ‘매봉’이라는 이름이 아주 흔한데, 이는 다양하게 풀이될 수 있다. 첫째, ‘매’를 ‘조류 매[鷹]’로 보고 ‘매처럼 생긴 산’ㆍ‘매 사냥을 하던 산’ 등으로 설명한다. 아니면 ‘매’를 ‘매화나무 매(梅)’로 보고, ‘매화나무가 있는 산’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그러나 ‘매’는 ‘산’으로 볼 수도 있다. 주변에 있는 산이어서 그저 ‘매’로 부르다가, ‘산봉우리’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매봉’이라 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더러는 다시 ‘산’을 붙여 ‘매봉산’으로 불리는 곳도 있다. 본 예가 여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매봉’이나 ‘매봉산’은 유의중복 어형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매봉산’는 ‘매가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의 봉우리’라기 보다는, 그저 ‘산’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송산2리 ‘안자산2’를 참고하기 바란다. 방무기[房-] : 굴다리를 지나 마을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방무기’는 ‘방목이’의 변화형이다. ‘방목이’는 ‘방목’에 접미사 ‘이’가 붙은 어형이다. ‘방목’은 ‘방(房)’과 ‘목’으로 나뉜다. ‘목’은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중요한 길의 좁은 곳’을 뜻한다. 따라서 ‘방목이’나 변화형 ‘방무기’는 ‘방처럼 아늑한,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중요한 길의 좁은 곳’으로 풀이된다. 상보(上洑) : ‘도암’ 서남쪽에 있는 보이다. ‘상보’는 ‘상’과 ‘보’로 나뉘며, ‘마을 위쪽에 있는 보’로 풀이된다. 세나래미 : ‘도암’ 북쪽에 있는 터이다. 마을 동쪽에서 흐르는 내, 괴산군 사리면에서 흐르는 내, 도안에서 흐르는 내 등 3개의 내가 멈추는 곳이다. ‘세나래미’는 ‘세나래’와 ‘미’로, ‘세나래’는 다시 ‘세’와 ‘나래’로 나뉜다. ‘나래’는 ‘날’에 접미사 ‘애’가 붙은 어형이다. ‘날’은 원래 ‘연장의 가장 날카로운 부분’을 뜻한다. 세 물줄기가 좁고 길게 흘러내려 붙은 것으로 추정된다. ‘미’는 ‘물’을 뜻한다.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계 지명은 두 가지 다른 어원에서 출발하였다. 하나는 ‘산(山)’을 뜻하는 신라어 ‘芼兮’(*뫼ㅎ)에서 비롯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수(水)’ㆍ‘천(川)’ㆍ‘정(井)’을 뜻하는 고구려어 ‘買’(*마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현용 ‘미’계 지명 중 ‘수(水)’ㆍ‘천(川)’ㆍ‘정(井)’이 함께 사용되거나 유래담이 이들과 관련 있는 예는 고구려어 ‘買’에 소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예도 여기에 속한다. 이런 설명에 따르면, ‘세나래미’는 ‘세 줄기의 좁고 길게 흐르는 물’로 풀이된다. ‘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증평읍 송산2리 ‘매뚝’을 참고하기 바란다. 앞들 : ‘막골’ 앞 문방천 주변에 펼쳐진 들이다. ‘앞들’은 ‘앞’과 ‘들’로 나뉘며, ‘앞쪽에 있는 들’로 풀이된다. 조가네모이뿌리[趙-墓-]/조가네물뿌리[趙-墓-] : 남쪽으로부터 칠보산맥을 타고 내려온 산맥이 동쪽과 서쪽으로 갈라지는데 동쪽 끝을 ‘조기네물뿌리’라고 부른다. ‘조가네모이뿌리’는 ‘조가네묘부리’의 변화형이다. ‘조가네묘부리’에서 ‘부리’는 백제어 ‘夫里’(*부리)에 소급되는데, 본래는 ‘성(城)’이나 ‘동(洞)’을 뜻했다. 그러나 현대 지명에서 의미변화가 일어나 ‘산부리, 즉 산의 어느 부분이 부리같이 쑥 내민 곳’을 뜻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가네묘부리’는 ‘조씨네 묘가 있는, 산의 어느 부분이 부리같이 쑥 내민 곳’으로 풀이된다. 조 씨들은 350년 전에 이 마을에 살았다. 따라서 이 산에는 조 씨 종중의 묘소가 많았으나, 현재는 이장하여 볼 수가 없다. 조 씨가 살다가 곡산 연씨가 자리를 잡았는데, 그 입향조는 연세붕(延世鵬, 1665∼1712)이다. 연세붕은 연사종의 9세손으로, ‘금당’에 입향한 연준수(延俊秀)의 증손이다. 연준수가 ‘금당’ 일대에 자리를 잡게 되자, 그의 자손 역시 점차 거주지를 확대해 가면서 ‘도암’으로 입향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곡산 연씨가 이 마을에 입향한 시기는 300여 년이 되었다. ‘부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증평읍 송산2리 ‘모종뿌리’를 참고하기 바란다. 중보(中洑) : ‘도토성’ 북서쪽 중간에 있는 보이다. ‘중보’는 ‘중’과 ‘보’로 나뉘며, ‘마을 중간에 있는 보’로 풀이된다. 집너머들 : ‘막골’에서 충북선 철도 건너인 사곡리와 보강천에 이르는 들이다. ‘집너머들’은 ‘집너머’와 ‘들’로, ‘집너머’는 ‘집’과 ‘너머’로 나뉜다. ‘너머’는 동사 어간 ‘넘[越]’에 파생접사 ‘어’가 붙어 이루어진 말로, ‘집ㆍ담ㆍ산ㆍ고개 같은 높은 것의 저쪽’이란 뜻을 지닌다. 동사 어간에 파생접사가 붙어 구체적인 장소를 가리키는 예는 매우 흔하다. 예컨대, ‘너미’ㆍ‘배기’ 등은 각각 ‘넘다’ㆍ‘박다’의 어간 ‘넘’ㆍ‘박’에 ‘이’가 붙는 경우요, ‘내기’는 ‘나다[出]’의 어간 ‘나’에 ‘기’가 붙는 경우이다. ‘너머’계 지명은, ‘길게너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산’ㆍ‘재’ㆍ‘집’ㆍ‘당’ㆍ‘동산’ㆍ‘태봉’ㆍ‘성황’ 등 구체적 장소를 가리키는 말이 전부요소로 쓰이고 있다. ‘집너머’는 골ㆍ들ㆍ마을 이름으로 전국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때에도 ‘집너매’ㆍ‘집너메’ㆍ‘집넘’ㆍ‘집너머말’ 등 그 형태가 다양하다. ‘집너머들’은 ‘집 너머에 있는 들’로 풀이된다. 홀미고개/지름재골 : ‘도암’ 서쪽 ‘공동축사’ 옆에 있는 고개로, ‘울어바위’로 넘어갈 때 이용된다. 현재 포장농로로 되어 있다. 이곳은 매의 날개에 해당된다고 한다. 사람들의 잦은 왕래로 고개가 낮아지자 주민들은 날개 부분에 해당되는 이 고개를 더 높여야 한다고 믿고 있다. 달리 ‘지름재골’로도 불린다. ‘지름재골’은 ‘지름재’와 ‘골’로, ‘지름재’는 다시 ‘지름’과 ‘재’로 나뉜다. 지명에서 ‘지름’은 ‘지름개’ㆍ‘지름고개’ㆍ‘지름골’ㆍ‘지름들’ㆍ‘지름재’ 등에 흔하게 붙는 요소이다. 그리고 이들은 ‘길다[長]’ㆍ‘기름지다’ㆍ‘기름[油]’ㆍ‘질러가다’ 등과 관련된 유래담을 가지고 있다. 본 예는 고개가 길다는 점을 고려하면, ‘긴 고개’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지름재골’은 ‘긴 고개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 도당3리(道塘三里) : ㆍ상은행정(上銀杏亭) : ‘은행정’은 도안면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괴산군 사리면 방축리와 경계를 이루며, 도당리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에 ‘한성은행정리(漢城銀杏亭里)’가 보이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과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관련된 이름이 보이지 않는다. ‘은행정’은 이 마을에 오래된 은행나무가 있기 때문에 유래되었다. 이 은행나무의 수령은 450년 정도이며, 높이는 10mㆍ둘레는 6m이다. 1982년 11월에 군(郡) 나무로 지정되었다. 마을 사람들은 매년 정월 13일에 나무에 고사를 지내 마을의 안녕과 발전을 기원한다. 이 마을은 뒤편으로 ‘수성산’이 감싸 안고 있으며 앞으로는 내가 흐르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살기 좋은 터이다. ‘상은행정’은 ‘은행정’ 중 방앗간 부근을 중심으로 위쪽에 있는 마을이다. ㆍ하은행정(下銀杏亭) : ‘하은행정’은 방앗간 부근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다. 댄경재[-傾-] : ‘하은행정’ 남쪽에 있는 들로, 괴산군 청안면 청룡리와 경계를 이룬다. ‘댄경재’는 ‘댄경’과 ‘재’로 나뉜다. 여기서 ‘댄경’의 뜻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다른 지역의 고개 이름에 ‘댄재’가 있는데, ‘오르내리기에 된 고개’라는 유래설이 붙어 있다. 그렇다면 ‘댄경’도 ‘된 경사(傾斜)’의 뜻인 ‘된경(-傾)’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따라서 ‘댄경재’는 ‘오르내리기에 힘든 경사를 가진 고개’로 풀이된다. 도당소류지(道塘小溜池) : ‘은행정’ 앞에 있는 못으로, 1940년에 축조되었다. ‘도당소류지’는 ‘도당’과 ‘소류지’로 나뉘며, ‘도당에 있는 못’으로 풀이된다. 도당제방(道塘堤防) : ‘도당’ 앞 청안천과 보강천 가에 있는 둑으로, 길이가 1.2km이다. ‘도당제방’은 ‘도당’과 ‘제방’으로 나뉘며, ‘도당에 있는 둑’으로 풀이된다. 말구리들 : ‘금당’에서 ‘은행정’으로 가는 입구에 있는 들이다. ‘말구리들’은 ‘말구리’와 ‘들’로, ‘말구리’는 다시 ‘말’과 ‘구리’로 나뉜다. 지명에서 ‘말’은 ‘말개’ㆍ‘말거리’ㆍ‘말고개’ㆍ‘말골’ㆍ‘말마루’ㆍ‘말둠벙’ㆍ‘말미’ㆍ‘말바우’ㆍ‘말배미’ㆍ‘말우물’ㆍ‘말재’ㆍ‘말티’ 등에서 흔히 발견되는 전부요소이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말[馬]’과 관련된 유래담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발견되는 수많은 ‘말’계 지명들이 모두 ‘말’과 관련될 수는 없다. 여기서 ‘말’은 접두사로, ‘일부 명사에 붙어, 큰 것임을 나타내는 말’로 보아야 한다. 실제로 ‘말’은 ‘말거미’ㆍ‘말냉이’ㆍ‘말다래’ㆍ‘말매미’ㆍ‘말벌’ㆍ‘말조개’ 등 지명 외에도 쓰여 ‘큰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구리’는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하나는 ‘굴’에 접미사 ‘이’가 붙은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때 ‘굴’은 ‘골’의 변화형으로, ‘골짜기[谷]’를 뜻한다. 따라서 ‘말구리’는 ‘말골’과 같은 뜻으로, ‘큰 골짜기[大谷]’로 해석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말구리’가 마을ㆍ골ㆍ들 이름 외에도 거리 이름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음에 착안하여, ‘구리’를 ‘거리’의 변화형으로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말구리’는 ‘큰 거리[大街]’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예는 두 번째 뜻으로 보아, ‘말구리들’은 ‘큰 거리에 있는 들’로 풀이된다. 바골/바위골 : ‘상은행정’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바골’은 ‘바’와 ‘골’로 나뉜다. ‘바’는 ‘바우’에서 ‘우’가 탈락한 어형이니, ‘바골’은 ‘바위가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달리 ‘바위골’로도 불리는데, 그 뜻은 ‘바골’과 같다. 바골소류지(-小溜池) : ‘바골’에 있는 못이다. ‘바골소류지’는 ‘비골’과 ‘소류지’로 나뉘며, ‘바골에 있는 못’으로 풀이된다. 방아골/방아동/용동(?洞) : ‘상은행정’ 서쪽에 있는 들이다. ‘방아골’은 ‘방아’와 ‘골’로 나뉜다. 지명에서 ‘방아’는 ‘방아’ㆍ‘방애’의 모습으로, ‘방아고개’ㆍ‘방아골’ㆍ‘방아논’ㆍ‘방아들’ㆍ‘방아매기’ㆍ‘방아실’ㆍ‘방애골’ㆍ‘방애드리’ㆍ‘방애실’과 같이 전부요소로 자주 사용된다. 이때 ‘방아’는 ‘디딜방아’를 뜻한다. 디딜방아는 공이만 빼면 Y자 모양을 하고 있어, 지형이 Y자 모양일 때 ‘방아’가 사용된다. 따라서 ‘방아골’은 ‘디딜방아처럼 Y자 모양으로 골짜기’로 풀이된다. 달리 ‘방아동’ 또는 ‘용동’으로도 불리는데, 그 뜻은 ‘방아골’과 같다. ‘디딜방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증평읍 사곡2리 ‘방아다리/신촌(新村)’을 참고하기 바란다. 베틀바위 : ‘바골소류지’에서 조금 올라가다가 오른쪽 숲에 있는 넓고 큰 바위이다. ‘베틀바위’는 ‘베틀’과 ‘바위’로 나뉘며, ‘베틀 모양의 바위’로 풀이된다. 이 바위는 실제로 베틀처럼 생겼다. 주민들이 이 바위 부근에서 천렵을 하며 흥겹게 논다. 부모골 : ‘도암’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굴창이골’ 남쪽에 붙어 있다. ‘부모골’은 ‘부모’와 ‘골’로 나뉜다. ‘부모’는 ‘불모’의 변화형으로, ‘불모’는 ‘불무’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부모산’에 대하여 ‘불모산’이나 ‘불무산’이 병용되는 예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불무골’에서 제2음절 모음이 변하여 ‘불모골’로, 다시 제1음절 받침이 탈락하여 ‘부모골’이 된 것이다. 아니면 ‘불무골’에서 제1음절 받침이 탈락하여 ‘부무골’로, 다시 제2음절 모음이 변하여 ‘부모골’이 될 수도 있다. ‘불무’는 ‘풀무’의 중세국어 어형이다. 그렇다면 ‘부모골’은 ‘풀무간이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도당3구인지? 부모골/풀무골/불무골 : ‘상은행정’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괴산군 사리면 방죽리로 가는 길목이다. ‘부모골’은 ‘부모’와 ‘골’로 나뉜다. ‘부모’는 ‘불모’의 변화형으로, ‘불모’는 ‘불무’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부모산’에 대하여 ‘불모산’이나 ‘불무산’이 병용되는 예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불무골’에서 제2음절 모음이 변하여 ‘불모골’로, 다시 제1음절 받침이 탈락하여 ‘부모골’이 된 것이다. 아니면 ‘불무골’에서 제1음절 받침이 탈락하여 ‘부무골’로, 다시 제2음절 모음이 변하여 ‘부모골’이 될 수도 있다. ‘불무’는 ‘풀무’의 중세국어 어형이다. 그렇다면 ‘부모골’은 ‘풀무간[대장간]이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풀무’는 불을 피울 때 바람을 일으키는 기구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풀무’의 중세국어 ‘불무골’로 나타나기도 하고. 한자 지명 ‘야동(冶洞)’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곳에는 예전에 절이 있었는데 빈대가 많아서 폐사되고, 지금은 절터만 남아 있다. 성물재(城-) : ‘부모골’ 옆에 있는 고개로, 괴산군 사리면 방축리로 갈 때 이용하였다. ‘성물재’는 ‘성물’과 ‘재’로, ‘성물’은 다시 ‘성’과 ‘물’로 나뉜다. 여기서 ‘성’은 ‘城’이니, ‘성물재’은 ‘성안 물이 있는 고개’로 풀이된다. 수성골(壽城-) : ‘수성산’ 밑에 있는 골짜기이다. ‘수성골’은 ‘수성산’에 기대어 붙은 이름이다. 수성산(壽城山) : ‘은행정’ 뒤에 있는 산이다. 토성이 있어 붙은 이름으로, 현재도 토성의 자취가 남아 있다. 괴산군 사리면(沙梨面) 방축리(方丑里) ‘수성(壽城)’과 경계를 이루는데, ‘수성’은 이 산 이름에 기대어 붙은 이름이다. 안산(案山) : 마을 앞에 있는 산이다. ‘안산’은 전국적으로 매우 많이 발견되는 지명으로, 풍수지리상의 용어이다. 조산(朝山)보다 낮고 작은, 혈(穴)에서 가장 가까운 산을 말한다. 이름 그대로 주산(主山)의 책상 또는 안석[?案]과 같은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은 깨끗하게 단장되어 있어야 한다. 사람들은 멀리 떨어진 주산보다 마을 앞에, 가까이 있는 안산을 더 중시한다. 이에 비해 ‘조산’은 ‘혈에서 가장 멀리 있는 용(龍)의 봉우리’를 말한다. 보통 마을 앞에 있는 산을 ‘안산’으로 부른다. 요앙샘[龍王-] : ‘부모골’에 있는 샘이다. ‘요앙샘’은 ‘용왕샘’의 변화형이다. ‘용왕샘’은 ‘용왕’과 ‘샘’으로 나뉜다. ‘용왕(龍王)’은 상상의 동물인 용을 가리킨다. 용은 구름을 일으키고 비를 내리게 하여 인간의 번뇌를 소멸시켜 준다고 전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불교가 들어오면서 용왕을 위하게 되었다. 용왕은 바다의 용궁ㆍ강ㆍ연못ㆍ우물 등에 산다고 믿어 왔다. ‘샘’은 ‘천(泉)’이다. 그렇다면 ‘용왕샘’은 ‘용왕이 산다는 우물’로 풀이된다. 예전에는 이곳에서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기원을 했다고 하는데, 지금은 물만 조금 흘러나온다. 장고개(場-) : ‘상은행정’ 북쪽에 있는 고개이다. ‘장고개’는 ‘장’과 ‘고개’로 나뉘며, ‘장을 갈 때 넘는 고개’로 풀이된다. 도당리 주민들이 청안으로 장을 보러 갈 때 넘나들던 고개이나, 현재는 이용되지 않는다. 장성들 : ‘은행정’에서 괴산 증평 간 도로 사이에 있는 들이다. ‘장성들’은 ‘장성’과 ‘들’로 나뉘고, ‘장성’은 ‘장승’의 변화형이다. 따라서 ‘장성들’은 ‘장승이 있는 들’로 풀이된다. 장승이 : ‘상은행정’ 동쪽에 있는 고개로, 현재 ‘농공단지’가 있는 곳이다. ‘장승이’는 ‘장승’에 접미사 ‘이’가 붙은 어형으로, ‘장승이 있는 곳’으로 풀이된다. 장승이저수지(貯水池)/장성저수지[-貯水池] : ‘은행정’ 동북쪽에 있는 저수지로, 1945년에 축조되었다. ‘장승이저수지’는 ‘장승이’ 가까이에 있어 붙은 이름이다. ‘장성저수지’는 ‘장승저수지’의 변화형으로, 그 뜻은 ‘장승이저수지’와 같다. 진설미[-山-] : ‘상은행정’ 입구에 있는 넓은 들이다. ‘진설미’는 ‘진산미’의 변화형이다. ‘진산’은 ‘진’과 ‘산’으로 나뉘는데, ‘진’은 ‘길다’의 관형사형 ‘긴’의 구개음화 어형이다. 따라서 ‘진산’은 ‘긴 산’으로 풀이된다. ‘진설미’는 여기에 다시 ‘산’을 뜻하는 ‘미’가 덧붙인 것이니, 유의중복 어형이다. 따라서 ‘진설미’는 ‘긴 산’으로 풀이된다. ‘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증평읍 송산2리 ‘안자산2’를 참고하기 바란다. 청당들(淸塘-) : ‘하은행정’ 남쪽, ‘댄경재’ 너머에 있는 들이다. 대부분은 괴산군 청안면 청룡리에 속한다. ‘청당들’은 ‘청당’과 ‘들’로 나뉜다. ‘청당’은 현재 괴산군 청안면(淸安面)을 말한다. 『고려사(高麗史)』에 따르면 청당현(淸塘縣)은 일명 청연현(靑淵縣)으로, 현종 9년(1018)에 청주(淸州)의 관할에 속했다고 한다.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는데 도안현의 감무도 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으로 보아 고려시대 전기에는 도안현과 청당현[청연현]이 모두 중요시됐으나 후대로 내려가면서 도안현보다는 청당현의 역할이 더 커진 것으로 생각된다. 『세종실록지리지』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등 조선시대에 발간된 각종 기록을 살펴보면, 태종 5년(1405)에 도안현과 청당현은 백성이 적고 땅이 좁아 두 현을 합쳐 ‘청안(淸安)’으로 현의 이름을 고치고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태종 13년(1413)에 법례에 따라 감무(監務)를 현감(縣監)이라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는 도안현이 폐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청당’이 다시 문헌에 등장하는 것은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朝鮮全道俯郡面里洞名稱一覽)』(1917)이다. 일제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현재의 청안면을 청당면(淸塘面)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들을 ‘청당들’로 부른 것은 이들이 청안면 쪽에 있기 때문이다. 한전날(-田-) : ‘은행정’으로 들어오는 입구에 있는 들이다. ‘한전날’은 ‘한전’과 ‘날’로, ‘한전’은 다시 ‘한’과 ‘전(田)’으로 나뉜다. 자역에 따라서는 ‘한전동’이 ‘한밭’ 또는 ‘한밭들’과 병용되는 예가 있음을 볼 때, ‘한전’은 ‘큰 밭’을 뜻한다. ‘날’은 원래 ‘연장의 가장 날카로운 부분’을 뜻한다. 주로 산이나 들 이름에 사용되는데, 산등성이나 들의 뾰족한 모습과 연장 날의 날카로운 모습이 형태상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전날’은 ‘큰 밭의 날카로운 부분’으로 풀이된다.

[ 문화재 ]

ㆍ정후사(靖厚祠) : 정후공(靖厚公) 연사종(延嗣宗: 1366~1434)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도당1리 ‘금당’ 467-3번지에 있다 정후사(靖厚祠)는 본래 정조 13년(1789)에 이곳의 선비들이 산수헌(山水軒) 권진응(權震應)과 관생와(觀生窩) 민이현(閔彛顯)에게 찾아가 정후공(靖厚公) 연사종(延嗣宗)과 후손인 안음현감(安陰縣監) 연충수(延忠秀), 의민공(毅愍公) 연최적(延最績), 동중추부사(同中樞府使) 연세홍(延世鴻) 등 4선생을 배향할 사우(祠宇) 건립의 필요성을 아뢰고 협조를 얻어, 당시 청안현 북쪽 10리쯤에 창건하였다. 처음에는 ‘금당사현사(金唐四賢祠)’라고 한 것으로 보인다. 순조 13년(1813)에는 다른 서원의 예처럼 예조(禮曹)에 법식을 갖추어 이 사실을 보고했다. 이때 이 사우는 3칸의 규모였고, 선비들이 공부하면서 생활하던 오늘날의 기숙사와 같은 동ㆍ서재와 강의실에 해당하는 강당을 모두 갖추어 비로소 서원의 면모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당액(糖液)은 권진응의 의견에 따라 ‘양양재(洋洋齋)’라고 했다. 지금도 마을 이름을 따서 ‘금당서원(金塘書院)’ 또는 ‘양양재(洋洋齋)’라고도 한다 그 후 순조 30년(1830)에 연주운(延周運: 1769~1830)이 이를 중수하였고, 서울 노원에 있던 연사종의 묘막(墓幕)을 수리했으며, 원주에 있던 연사종의 사우가 허물어져 있던 것을 이곳 ‘금당서원’ 옆으로 옮겨 왔다고 한다. 이때 정후공의 사우를 별도로 웅담리(熊潭里)에 건립했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웅담리의 위치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이 정후공 사우는 고종 6년(1869)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모두 철폐되었는데, 1915년에 후손들이 다시 사묘와 강당 및 동ㆍ서재를 세웠고, 이때 동ㆍ서재의 이름은 송달수(宋達洙)가 맹자와 주자의 말을 인용해 ‘행인(行人)’과 ‘상의(尙儀)’라고 했다고 한다. 현재는 ‘정후사’라고 해 연사종의 위패와 영정만을 모신 사당만이 남아 있고, 마당에는 그전에 사용했던 주춧돌들이 그대로 있으며, 매년 음력 2월 28일에 향사(享祀)하고 있다. 이 사당의 건물은 정면 3칸ㆍ측면 1칸 반에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이며, 솟을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사당 안에는 헌종 4년(1838)에 민태용(閔泰鏞)이 지은 정후공영당기(靖厚公影堂記)와 1915년에 송달수가 지은 금당서원기(金塘書院記)가 걸려 있다. 2004년 4월 30일에 증평군 유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연사종의 영정은 부원군(府院君)의 조복(朝服)을 입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크기는 가로 60cmㆍ세로 113cm로서, 무오년 가을 와우산인(臥牛山人) 서봉(瑞奉)이 그렸다고 한다. 설채견본(設彩絹本)에 그려진 영정은 현재 덧칠을 해 원형이 훼손됐다. 정후공 연사종(延嗣宗)에 대한 인물소개는 화성리 문화재 부분 곡산연문효열각(谷山延門孝烈閣)을 참고하기 바란다 ㆍ강릉유문쌍열각(江陵劉門雙烈閣) : 고종 31년(1894)에 이 지역에 거주하던 유세귀(劉世貴)의 부인 밀양박씨(密陽朴氏)와 유세현(劉世賢)의 부인 경주김씨(慶州金氏)의 정렬과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각으로, 도안면 도당1리 ‘좌실’ 216번지에 있다. 이 지역에 살던 유세귀(劉世貴)의 형제가 일시에 죽게 되자 그들의 처인 밀양박씨와 경주김씨가 서로 의지하며 매일 묘소를 보살펴 나라에 천거되어 정려가 내려지고, 박 씨와 김 씨를 기리는 열녀각이 세워졌다. 건물은 정면 1칸ㆍ측면 1칸의 맞배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쌍열각 안에는 좌측에 ‘열녀증통훈대부군자감정유세귀처숙인밀양박씨지려상지삼십일년갑오삼월일명정(烈女贈通訓大夫軍資監正劉世貴妻淑人密陽朴氏之閭上之三十一年甲午三月日命旌)’, 우측에 ‘열녀학생공유세현처유인경주김씨지려상지삼십일년갑오삼월일명정(烈女學生公劉世賢妻孺人慶州金氏之閭 上之三十一年甲午三月日命旌)’이라는 편액이 나란히 걸려 있다. 이 열녀각 왼쪽에는 강릉유씨 가문의 묘소가 몇 기 있으나, 현재 후손들은 다른 지방으로 이주해 이곳에는 살고 있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자세히 그 내력은 알 수가 없다. 비지정문화재이다. ㆍ이겸재선정비(李謙在善政碑) : ‘은행정’에서 괴산군 사리면으로 넘어가는 1km 지점 고개 밑 좌측 도로 가에 있다. 본래 1796년 9월에 ‘서낭댕이’ 곁에 세웠는데 도로공사를 하면서 서낭이 없어지고 그 곁에 있던 선정비도 뽑혀 방치해 있던 것을 마을 주민들이 지금의 위치로 옮겨놓았다. 비의 전면과 측면에는 ‘관찰사이공겸재선정비병진구월일(觀察使李公謙在善政碑丙辰九月日)’이라고 쓰여 있다. 이겸재는 한산이씨로 형조참판을 역임한 바 있으며, 품계는 가선대부절충장군이다. 비신은 높이 142cmㆍ폭 49cm이며, 개석의 높이는 64c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