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의 지명

HOME > 증평의역사 > 증평의 지명

증평읍

증평군 중심 상권이자 증편군에서 제일 활기넘치는 거리

중동리 (中洞里)

[ 연혁 ]

중동리는 본래 조선시대 청안현(淸安縣) 근서면(近西面) 지역이다. 증평리는 1966년 1월 1일에 교동리(校洞里)ㆍ중동리(中洞里)ㆍ대동리(大洞里)로 분리되었고, 다시 2002년 1월 2일에 창동리(昌洞里)ㆍ장동리(莊洞里)ㆍ증천리(曾川里)ㆍ내성리(內省里)ㆍ신동리(新洞里)로 분리되었다. 이때 대동(大洞) 5개리 중 2ㆍ3ㆍ4리를 증평리로 하였다.이처럼 중동리는 1966년 1월 1일에 증평리에서 분리되어 법정리가 되었다. 1990년 12월 31일에 지방자치법 제106조 및 충청북도조례 제1864호에 의거하여 충청북도증평출장소가 설치될 때에는 장평지소 관할이었다. 그러다가 2003년 5월 29일에 법률 제6902호 「증평군 설치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고, 부칙에 따라 3개월 뒤인 2003년 8월 30일에 증평군(曾坪郡)이 공식 설치되어 증평군 증평읍 중동리가 되었다.

[ 유래 ]

중동리는 교동리ㆍ창동리ㆍ대동리로 둘러싸인 마을로, 증평읍의 가운데 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현 증평군청 자리에는 과거 증평역이 있어 그 주변은 상업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또한 오래 전부터 5일장이 개설되고, ‘장뜰재래시장’이 형성되어 있었다. 지금도 증평새마을금고ㆍ증평신용협동조합ㆍ신한은행 증평지점ㆍ괴산축협 증평지소 등의 금융기관이 자리하고 있다. 증평역은 1980년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2010년 5월 현재 285세대에 623명이 거주하고 있다.

  • 중동1리(中洞一里) : 중동리 중 서쪽에 있으며, 개인주택단지로 되어 있다.
  • 중동2리(中洞二里) : 중동리 중 동쪽에 있으며, 선경아파트와 개인주택단지로 되어 있다. 증평장이 서는 곳이다. 곡마당(曲馬堂) : 예전 ‘싸전마당’ 일대로, 곡마단(曲馬團)이 공연하던 곳이다. ‘곡마당’은 ‘곡마’와 ‘당’으로 나뉜다. ‘곡마(曲馬)’는 ‘길들여 놓은 말을 타고 재주를 부리거나 또는 그 재주’를 말하는데, 달리 ‘말놀음’이라고도 한다. ‘당’은 ‘마당’이다. 따라서 ‘곡마당’은 ‘곡마와 기술, 요술 따위를 보이는 마당’으로 풀이된다.나무전거리(-廛-) : 현재 ‘일신약국’ 주변이다. 과거 땔나무를 파는 가게가 많았다. ‘나무전거리’는 ‘나무전’과 ‘거리’로, ‘나무전’은 다시 ‘나무’와 ‘전’으로 나뉜다. ‘전’은 ‘물건을 벌여놓고 파는 가게’이다. 따라서 ‘나무전거리’는 ‘나무를 벌여놓고 파는 가게가 있는 거리’로 풀이된다. 네거리 : 예전 증평역[현재 증평군청] 앞 사거리 일대를 말한다. ‘네거리’는 ‘네 갈래로 나뉜 거리’를 뜻한다. 소전마당(-廛) : 예전 ‘싸전마당’ 부근으로, 우시장이 있었다. ‘소전마당’은 ‘소전’과 ‘마당’으로 나뉜다. 따라서 ‘소전마당’은 ‘소를 벌여놓고 파는 마당’으로 풀이된다.시장통(市場-) : 지금 5일장이 서는 ‘장뜰재래시장’ 구간을 말한다. ‘시장통’은 ‘시장’과 ‘통’으로 나뉜다. ‘통’은 ‘거리’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다. 따라서 ‘시장통’은 ‘시장거리’로 풀이된다. 싸전마당(-廛-) : ‘장뜰재래시장’ 내 야외광장 주변을 말한다. 예전 쌀가게가 많았고 넓은 마당이 있었다. ‘싸전마당’은 ‘싸전’과 ‘마당’으로 나뉘고, ‘싸전’은 ‘쌀전’에서 ‘ㄹ’이 탈락한 어형이다. 따라서 ‘싸전마당’은 ‘쌀을 벌려놓고 파는 가게들이 있는 마당’으로 풀이된다.어물전거리(魚物廛-) : 현재 ‘산초건강원’ 골목으로, 과거 어물가게가 있었다. 1940년대 말 일본인이 운영하던 ??영단방앗간??에 화재가 나서 1주일간 탔다. 당시는 소방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 관계로 불을 낸 김 아무개 씨의 모친은 현장에서 목숨을 잃었다. 그리고 화재가 났던 자리에 어물전이 생겨났다. ??어물전거리??는 ??어물전??과 ??거리??로 나뉘고, ??어물전??은 다시??어물??과 ??전??으로 나뉜다. ??어물??은 ??생선이나 말린 생선을 벌려놓고 파는 가게 들이 있는 거리??로 풀이된다.유기전거리(鍮器廛-) : 현재 ‘괴산축협증평지소’ 골목으로, 과거 놋그릇 가게가 있었다. ‘유기전거리’는 ‘유기전’과 ‘거리’로 나뉘고, ‘유기전’은 다시 ‘유기’와 ‘전’으로 나뉜다. ‘유기’는 ‘놋그릇’을 말한다. 따라서 ‘유기전거리’는 ‘놋그릇을 벌려놓고 파는 가게들이 있는 거리’로 풀이된다.증평장(曾坪場) : 중동리에 5일마다 서는 전통적인 재래시장이다. 증평 5일장은 1일과 6일에 5일마다 서는 정기시장이다. 1923년 5월 1일에 조치원역∼증평역[당시 청안역, 지금의 증평군청 자리] 간 충북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인근 지역의 주요 농산물이 서울ㆍ부산 등 대도시로 운송됨에 따라 증평역 주변으로 상권이 형성되고 5일장이 발달했다. 1928년 증평[청안] ~충주 간 충북선이 연장 개통됨으로 증평장은 더욱 활성화되었다. 지금의 장소에 장이 서기 전인 1970년대 중반까지는 중동리 61번지[옛 ‘동일약국’ 자리]~중동리 112번지[‘반도천막’ 자리] 구간에 5일장이 열렸다. 2004년에 증평군에서는 재래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비 가림 시설을 설치하여 상인과 구매자에게 편리를 제공하고 있다. 채소전거리(菜蔬廛-) : 현재 ‘태평파크’ 옆 골목으로, 과거 채소가게가 있었다. ‘채소전거리’는 ‘채소전’과 ‘거리’로 나뉘고, ‘채소전’은 다시 ‘채소’와 ‘전’으로 나뉜다. 따라서 ‘채소전거리’는 ‘채소를 벌려놓고 파는 가게들이 있는 거리’로 풀이된다.포목전거리(布木廛-) : 현재 ‘충북장’ 골목으로, 지금도 포목가게 일부가 남아 있다. ‘포목전거리’는 ‘포목전’과 ‘거리’로 나뉘고, ‘포목전’은 다시 ‘포목’과 ‘전’으로 나뉜다. ‘포목’은 ‘베와 무명’을 말한다. 따라서 ‘포목전거리’는 ‘베와 무명을 벌려놓고 파는 가게들이 있는 거리’로 풀이된다. 피전거리(-廛-) : 현재 ‘화선집’이 있는 골목으로, 과거 고기를 팔았다. ‘피전거리’는 ‘피전’과 ‘거리’로 나뉘고, ‘피전’은 다시 ‘피’와 ‘전’으로 나뉜다. 여기서 ‘피’는 ‘고기와 선지’를 아울러 가리킨다. 따라서 ‘피전거리’는 ‘고기와 선지를 벌려놓고 파는 가게들이 있는 거리’로 풀이된다.

[ 문화재 ]

대장장이 최용진 : 최용진 씨는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고유 농기구와 생활도구 등을 제작하여 선조들의 농경문화를 널리 전수하고 있는 분이다. 최용진 씨는 현재 증평읍 중동 85-17번지 선경아파트 뒤편에서 10평 남짓의 ‘증평대장간’을 운영하고 있다. 최 씨는 1995년 11월에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한 전국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해 전국 최초로 야장부문(冶匠部門) 고유기능 전승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증평출장소 및 증평군향토문화연구소 등 관련 단체에서는 대장장이 최용진 씨를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것을 추진하였고, 2005년에 증평군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다.